본문 바로가기

근로기준법2

사회적기업 새내기를 위한 경영지식-정규직과 계약직, 시간제(단시간) 근로계약의 차이점 안녕하세요 광덕에 위치한 사회적기업 ㈜제이티푸드솔루션입니다:) 오늘 주제는 사회적기업의 ‘정규직과 계약직, 시간제(단시간) 근로계약의 차이점‘입니다. 목차. 1. 정규직과계약직의차이점 2. 단시간근로자의 정의 및 근로기준법 적용 3. 단시간 근로자의 법내 연장근로에 대한 초과수당 지급 1. 정규직과계약직의차이점 정규직과 계약직의 차이점은 근로계약 기간이 있는지 없는지의 차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근로계약 체결 시근로계약 기간을 어떻게 정할 것인지는 원칙적으로 근로계약을 체결하는 당사자의 의사에 달려 있습니다. 07.07.01부터 "기간제 및 단시간 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 시행됨에 따라 기간제 근로자의 총 사용시간이 2년 이하로 제한되었습니다. 2. 단시간근로자의 정의 및 근로기준법 적용 정의 ·.. 2023. 12. 2.
사회적기업 새내기를 위한 경영지식-사회적기업의 근로기준법 안녕하세요 광덕에 위치한 사회적기업 ㈜제이티푸드솔루션입니다:) 오늘 주제는 사회적기업의 근로기준법입니다. 목차. 1.근로기준법 적용 대상 2. 상시근로자 수 산정방법 3. 근로자의 개념 1. 근로기준법 적용 대상 근로기준법이란 근로자의 근로조건의 최저기준을 정하여 감독관청으로 하여금 근로감독을 실시케 함으로써 근로자를 보호하려는 법으로 상시 5인 이상의 근로자를 고용하는 모든 사업과 사업장에 적용됩니다. 즉, 그 사업의 업종, 형태, 영리추구 여부 등을 묻지 않고 5인 이상을 사용하는 사업이면 예외 없이 근로기준법이 적용됩니다. 다만, 동거의 친족만을 사용하는 사업 또는 사업장과 가사사용인에 대해서는 근로기준법이 적용되지 않으며, 상시 4명 이하의 근로자를 사용하는 사업 또는 사업의 경우 일부 규정이 적.. 2023. 11. 30.